본문 바로가기
상식과 지식 사이/일상 정보

엑셀파일 복구방법

by 준박사 2025. 2. 8.
728x90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많은 분들이 업무나 학업에서 자주 사용하시는 ‘엑셀 파일 복구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엑셀은 정말 유용한 프로그램이지만, 때때로 예기치 못한 오류나 저장 누락, 혹은 파일 손상 등으로 인해 갑자기 작업하던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손상되어 당황스러운 상황을 겪으신 적이 있으실 거예요.

 

저도 과거에 공들여 작성한 자료가 갑자기 열리지 않아서 심장이 철렁 내려앉은 적이 있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들께 최대한 상세하고, 쉽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엑셀 파일 복구 방법들을 낱낱이 알려드리려고 해요.

 

아마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어떤 걸 먼저 시도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제가 추천드리는 순서와 함께, 단계별로 천천히 따라오시면 엑셀 파일을 최대한 잘 복구해 내실 수 있을 거예요. 혹시 이미 어떤 방법으로도 복구가 안 된다고 해서 포기하지 마시고, 오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차근차근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엑셀 자체 기능 ‘열기 및 복구’ 활용하기

가장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엑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열기 및 복구’ 기능을 사용하는 거예요. 이 기능은 손상되었거나 문제가 있는 엑셀 파일을 자동으로 진단하고 복구를 시도해 주는 기능입니다.

  1. 엑셀을 실행해 주세요.
  2. 상단 메뉴에서 [파일] - [열기] 순서로 들어가시고, 문제가 있는 엑셀 파일이 위치한 폴더로 이동하세요.
  3. 대상 엑셀 파일을 단일 클릭하신 뒤, 열기 버튼 옆의 작은 화살표(▼ 모양)를 클릭해주세요.
  4. 목록이 펼쳐지면 ‘열기 및 복구’(Open and Repair)라는 옵션이 있을 거예요.
  5. 그걸 누르시면 엑셀이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자동 시도를 할 거예요.

이 방법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꽤 높은 확률로 문제를 해결해 줄 때가 많습니다. 파일에 어떤 오류가 있는지에 따라 다르지만, 엑셀이 스스로 판단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를 복원해 주려고 하거든요. 물론 100% 복구를 장담할 수는 없지만, 가장 먼저 시도해 볼 만한 방법이니 꼭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 임시 저장 파일(Temp 파일) 확인하기

두 번째로 확인해 보실 수 있는 방법은 임시 저장 파일(Temp 파일)을 찾아보는 거예요. 엑셀이나 워드 같은 MS 오피스 프로그램은 작업 중간중간 자동으로 임시 파일을 만들어서 저장해 두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만약 갑자기 컴퓨터 전원이 꺼지거나,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되어서 저장을 못 했다면, 임시 파일을 확인해 보시면 다행히도 일정 부분 작업 내용을 되살릴 수도 있어요.

  1. Windows 탐색기를 여신 뒤, 주소 창에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Temp 혹은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Microsoft\Office\UnsavedFiles 등의 경로를 입력해 보세요.
    • 여기서 ‘사용자이름’ 자리에 실제 윈도 사용자명 폴더가 있어야 합니다.
  2. 해당 폴더 안에서 생성된 시간이 최근이거나, 파일 이름에 엑셀 파일 확장자(. xls,. xlsx 등)와 유사한 문구가 포함된 파일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3. 혹시 해당 파일이 있다면, 복사해서 안전한 다른 폴더(예: 바탕화면)에 붙여 넣으시고, 엑셀로 열어보시는 겁니다.

만약 파일 크기가 0KB라면 복구가 불가능할 확률이 매우 높지만, 그래도 파일 용량이 어느 정도 있다면 열어보실 가치는 충분합니다. 임시 파일로 열리는 경우, 작업하시던 내용 중 일부 혹은 전부가 남아 있을 수도 있거든요.

또한, 자동 복구(AutoRecover)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보통 엑셀 옵션에서 자동 복구 간격이 설정되어 있어, 일정 시간마다 자동 백업을 해두는데요. 이 자동 복구 파일은 대체로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Microsoft\Excel\ 경로 안에 저장될 때가 많습니다. 찾으셔서 직접 열어보시면, 정상적인 엑셀 파일로 복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백업 파일(. xlk) 확인하기

다음으로 시도해 보실 수 있는 방법은 백업 파일을 확인하는 거예요. 엑셀 옵션에서 ‘항상 백업 파일 생성’ 기능을 활성화해 두셨던 분들이라면, 원본 파일과 별도로 . xlk 확장자의 백업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1. 해당 엑셀 파일이 저장되어 있던 폴더로 이동하세요.
  2. .xlk 확장자 파일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3. 만약 발견되신다면 엑셀로 열어보시고, 열리는지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이 방법은 평소에 미리 설정이 되어 있어야만 유효하기 때문에, 이제라도 중요한 문서를 다룰 때는 백업 파일 생성을 켜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혹시나 ‘항상 백업 파일 생성’이 꺼져 있었다면, 다음부터는 꼭 켜두시고 사용하시면 문제가 생겼을 때 한결 마음이 편하실 거예요.

 


4. ‘이전 버전 복원’(Windows 복원 지점) 기능 활용하기

윈도를 사용하신다면 폴더나 파일에 대하여 이전 버전 복원 기능을 이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파일 히스토리를 켜두었거나, 시스템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긴 하지만, 활성화돼 있었다면 정말 유용하답니다.

  1. 문제의 엑셀 파일이 있던 폴더를 우클릭하시고, **‘속성’**으로 들어가세요.
  2. 상단 탭 중에 ‘이전 버전’(Previous Versions)이라는 탭이 있을 거예요.
  3. 그곳에 표시된 날짜별 복원 지점이 보이신다면, 혹시 파일이 삭제되거나 손상되기 이전 시점으로 돌아간 버전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4. 해당 시점으로 복원하거나, 혹은 다른 경로에 복사해서 열어보시면 돼요.

이 기능은 엑셀이 아니라 윈도우 자체의 복원 기능이기 때문에, 만약 자동으로 파일 히스토리를 켜두지 않으셨다면 표시가 안 될 수 있어요. 하지만 한 번 세팅해두시면 여러 문서 작업을 하실 때 정말 든든하므로, 평소에도 파일 히스토리나 시스템 보호가 켜져 있는지 꼭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5. Office 365(OneDrive) 자동 저장 기능 활용하기

최근에는 Office 365OneDrive를 연동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늘고 있죠. 이 경우, Excel, Word, PowerPoint 같은 문서를 열어두면 자동 저장(AutoSave)이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문제로 파일이 깨져도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전 버전을 비교적 쉽게 복구하실 수 있습니다.

  1. OneDrive 웹사이트(onedrive.live.com)에 접속하세요.
  2. 파일이 저장되어 있던 경로로 이동하시면, 자동으로 저장된 엑셀 파일을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3. 우클릭 후 **‘버전 기록(Version History)’**을 확인하시면, 날짜별로 파일의 다른 버전이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4. 혹시 문제가 생기기 전 날짜 버전으로 되돌리면, 상당 부분 또는 전부 복원이 가능하답니다.

이 방법은 로컬 PC에만 파일을 저장하던 과거 방식과 달리, 클라우드에 자동 저장을 해두면 훨씬 안전하다는 장점을 극명히 보여주는 예이기도 해요. 만약 아직 OneDrive를 사용 중이 아니시라면, 자료를 좀 더 안전하게 관리하시기 위해서 한 번쯤 고려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6. 저장된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손상되었을 때 시도할 수 있는 ‘CSV 변환’ 방법

간혹 손상된 엑셀 파일이 특정 시트나 셀 정보를 건드리면 아예 열리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CSV(콤마로 구분된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만큼은 살리는 시도를 해보실 수도 있어요.

  1. 먼저 엑셀이 정상적으로 열리진 않더라도,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시고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를 시도해보세요.
    • 예: 메모장(Notepad), 혹은 다른 텍스트 편집기
  2. 만약 파일 안의 내용이 텍스트 형태로라도 확인이 되면(깨져 보일 수도 있지만),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통해 .csv나 .txt 포맷으로 저장해보세요.
  3. 다시 엑셀에서 CSV 파일을 열면, 텍스트로 변환된 상태지만 어느 정도 수치나 텍스트 데이터를 확인하고 재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서식(글꼴, 색상, 셀 병합 등)은 거의 다 날아가지만, 적어도 중요한 데이터(숫자, 텍스트)는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후의 수단 중 하나로 시도해볼 만합니다.

 


7. 파일 확장자 변경 시도

엑셀 확장자는 주로 .xls(엑셀 97~2003)나 .xlsx(엑셀 2007 이상) 형태이지만, 간혹 파일 확장자 정보가 잘못 등록되어 있거나 손상되어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이때는 확장자를 직접 바꿔보는 방법도 가끔 통할 때가 있습니다.

  1. 손상된 엑셀 파일을 복사해서, 복사본의 파일 이름을 예를 들어 파일이름.xlsx에서 파일이름.xlsb 혹은 파일이름.xls 등 다른 확장자로 바꿔보세요.
  2. 확장자를 변경한 파일을 엑셀로 열어보세요.

물론 너무 간단한 방법이기에 잘 되지 않는 경우도 많지만, 엑셀이 파일 구조를 조금이나마 다르게 해석해서 열어볼 여지는 있습니다. 간혹 이 방법으로 일부 데이터를 살려내기도 하니까, 여러 가지 방법이 막혔을 때 시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8. 엑셀 내 VBA 코드 충돌 여부 점검하기

엑셀 파일에 VBA 매크로(Visual Basic for Applications)가 들어가 있는 경우, 매크로 코드가 충돌이나 오류를 일으켜 파일을 열 때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안전 모드로 파일을 열어보는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어요.

  1. 윈도우 + R 키를 눌러서 실행 창을 열고, excel /safe라고 입력한 다음 엔터를 눌러주세요.
  2. 엑셀이 안전 모드로 실행될 텐데, 이 상태에서 문제가 있는 엑셀 파일을 열어보세요.
  3. 만약 안전 모드에서는 정상적으로 열린다면, 매크로나 추가 기능(애드인) 부분이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4. 매크로 코드가 복잡할 경우, VBA 에디터(Alt + F11)로 들어가서 어느 부분이 충돌을 유발하는지 점검하셔야 해요.

매크로가 있는 파일이라면, 매크로를 일단 제거하거나, 모듈별로 분리한 뒤 다시 저장해서 정상 파일로 옮겨 보실 수도 있습니다. 혹은 VBA 코드를 최소화하거나 주석 처리해본 뒤에 다시 열어보시면, 문제의 원인을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답니다.


9. 전문 복구 프로그램 활용하기

위의 방법들로도 엑셀 파일이 복구되지 않는다면, 전문 복구 프로그램을 써보는 방법이 남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ellar Repair for Excel’, ‘Kernel for Excel Repair’와 같은 상용 복구 소프트웨어가 있는데요. 이런 프로그램들은 손상된 엑셀 파일 내부 구조를 분석해서 셀 데이터, 수식, 차트, 서식, 피벗 테이블 등을 최대한 복원해 주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 Stellar Repair for Excel: 체험판 다운로드 후 손상된 파일을 넣어 보면, 복원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한 복구 결과물을 저장하려면 정식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할 수 있어요.
  • Kernel for Excel Repair: 이것도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고, 표, 차트, 서식, 수식 등을 복구하려고 시도합니다.

물론 유료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정말 중요한 회사 자료나 학술 데이터가 걸려 있는 경우에는 투자해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봤을 때는, 엑셀 자체 기능이나 다른 기본적인 시도들로는 도저히 살릴 수 없었던 파일 일부를 살려준 경험도 있었습니다.

 

 


10. 수동 복사 & 붙여넣기로 시트 구조 복원하기

또 다른 팁으로, 일부 시트는 열리는데 특정 시트에서만 오류가 발생해서 파일 전체가 망가지는 경우가 있어요. 이때는 엑셀에서 열리는 시트만 먼저 복구한 뒤, 새 워크북으로 복사해서 붙여넣는 방식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손상된 파일을 어떤 방식으로든 열 수 있다면, 부분적으로 열리는 시트(정상 시트)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 ‘이동 또는 복사’**를 통해 새 워크북으로 옮겨 주세요.
  2. 문제가 있는 시트만 남겨놓고, 복구를 다시 시도하거나, 다른 방법(‘열기 및 복구’ 등)을 활용해보세요.
  3. 혹은 문제가 있는 시트가 아예 열리지 않는다면, 그 시트는 어쩔 수 없이 포기하고 다른 시트만이라도 건져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시트를 분리해두면, 최소한 정상 시트의 데이터와 구조는 보존할 수 있으니 전부 날리는 것보다는 훨씬 낫겠죠?


11. 파일 복구 전, 안전한 복사본을 만들어 두세요

위에서 소개해드린 방법들을 시도하시기 전에 꼭 파일 복사본을 만들어서 백업해두시길 권장드립니다. 왜냐하면 복구 시도를 하다가 오히려 파일이 더 망가질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열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손상 범위가 커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원본 파일을 복사해서 여러 개 만들어둔 뒤, 각각 다른 방법을 차근차근 시도해보시는 게 안전해요.


12. 예상치 못한 파일 손상을 예방하는 습관

엑셀 파일 복구 방법들을 알아봤으니, 이제 파일 손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도 함께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자동 복구(AutoRecover) 간격 조절:
    • 엑셀 [파일] - [옵션] - [저장] 탭을 들어가시면, 자동 복구 간격을 10분에서 5분으로 줄인다든지, 좀 더 자주 백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자동 복구 파일 저장 위치가 어딘지도 미리 알아두세요.
  2. OneDrive나 구글 드라이브 등의 클라우드 연동:
    • 클라우드에 저장하면, 갑자기 컴퓨터가 꺼지더라도 저장 시점별로 버전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 회사 내부 보안 규정 때문에 클라우드 사용이 어려우신 분들은, 사내 네트워크 드라이브라도 이용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 정기적인 백업 습관:
    • 가끔씩 중요한 폴더 전체를 외장 하드나 다른 PC에 백업해두는 습관이 필요해요.
    • 이왕이면 백업 파일은 날짜별로 구분해서 저장하시면, 특정 시점으로 돌아가기도 훨씬 쉽답니다.
  4. 엑셀 종료 전 꼼꼼히 저장하기:
    • 당연한 이야기지만, 파일을 닫기 전, 수시로 Ctrl + S를 습관처럼 눌러주시면 좋습니다.
    • 혹시 프로젝트가 복잡하다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서 버전을 나누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랍니다.
  5. 매크로나 애드인, 외부 연결 체크:
    • 복잡한 매크로나 외부 연결(예: 웹 쿼리, 외부 데이터 소스)이 있으면 예상치 못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니, 작업 전후로 상태를 잘 점검해주세요.

이런 작은 습관들만 잘 지키셔도, 파일이 손상되어서 황급히 복구 방법을 찾아다닐 일은 훨씬 줄어들 거예요.

 

 


13. 복구가 어려울 때 전문가 도움받기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복구가 안 되는 경우에는, IT 지원팀이나 데이터 복구 전문 업체에 문의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히 기업에서 아주 중요한 재무 데이터나 고객 정보가 들어 있는 파일이라면, 내부 IT 담당자에게 요청하거나, 외부 전문 업체에 의뢰해서 전문적인 복구 툴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것이 마지막 희망이 될 수 있어요.

 

물론 시간과 비용이 들겠지만, 그 데이터가 수많은 손해를 방지해줄 만큼 중요한 자료라면, 그런 비용도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을 수 있겠지요. 다만, 전문 업체에서조차 100% 복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는 점은 미리 유념하셔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이상으로, 엑셀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저장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시도해볼 수 있는 복구 방법들을 최대한 다양하게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런 문제가 생기면 정말 당황스럽고 정신이 없기 마련인데요. 우선 천천히 심호흡하시고, 제가 알려드린 방법들을 가장 간단한 것부터 차근차근 시도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 엑셀 ‘열기 및 복구’ 기능 →
  2. 임시 저장 파일(Temp) & 자동 복구 파일 확인 →
  3. 백업 파일(.xlk) 여부 확인 →
  4. 윈도우 ‘이전 버전 복원’
  5. OneDrive(클라우드) 버전 기록 확인 →
  6. CSV 변환이나 파일 확장자 변경 시도
  7. 전문 복구 프로그램 이용 →
  8. 시트 분리, 매크로 충돌 점검 등등

이 순서대로 시도하다 보면 의외로 상당 부분 데이터를 살려내실 수 있으리라 믿어요. 무엇보다도, 문제가 생길 때마다 그때그때 허둥지둥하기보다는, 평소에 자동 복구나 백업, 클라우드 저장 습관을 잘 들여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두시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부디 이 글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앞으로도 엑셀을 비롯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며 문제가 생길 때마다 참고하실 수 있도록 정보성 글을 많이 준비해 보겠습니다. 혹시나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거나, 다른 복구 방법을 알고 계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우리 함께 정보를 나누고, 더 나은 방법을 찾아나가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고요,

엑셀 파일 복구에 꼭 성공하셔서 작업을 무사히 이어나가시길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00x250

'상식과 지식 사이 >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시 모음 10선  (0) 2025.02.08
아이폰 초기화 방법  (0) 2025.02.08
태양광발전사업 허가절차  (0) 2025.02.07
윈도우 10 초기화 방법  (0) 2025.02.07
알리익스프레스 구매방법  (0)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