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10만 원씩만 저축해도,
정부가 10만 원 또는 30만 원까지 추가로 넣어주는 제도!
3년 뒤에는 최대 1,4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니, 정말 솔깃하죠?
하지만 ‘지금 백수인데 괜찮을까?’, ‘군대 가야 하는데 신청해도 되나?’ 같은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죠.
이제부터는 실제 사례 + 자주 묻는 질문 중심으로 차근차근 풀어드릴게요.
🔎 실제 사례로 보는 지원 유형
🧑🎓 사례 1. 편의점 알바를 그만둔 태훈 씨 (만 25세)
태훈 씨는 최근까지 편의점에서 주 5일, 하루 5시간씩 알바하며 월 90만 원 소득이 있었습니다.
가구는 중위소득 47%로 차상위 이하에 해당해요.
그런데 이번 달에 알바를 그만뒀다면… 신청 가능할까요?
👉 가능합니다!
다만, **신청 당시엔 근로소득 증빙(최근 3개월 이내 소득이 있어야 함)**이 꼭 필요하고,
가입 후 3년간 꾸준히 다시 근로소득을 유지해야 만기 수령이 가능해요.
📌 알바를 다시 구해서 곧 근무 시작할 계획이라면,
신청서에 해당 내용을 포함하고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심사에 도움이 됩니다.
👨✈️ 사례 2. 군 복무 중인 종현 씨 (만 23세, 상병)
종현 씨는 현재 군 복무 중입니다. 소득은 병사 봉급뿐, 근로소득은 따로 없어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가능할까요?
👉 신청 불가합니다.
군 복무 기간 중은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상태로 보지 않기 때문에,
퇴역 후 전역증을 받고 실제로 일하면서 월 10만 원 이상 소득이 발생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 하지만, 전역 후 근로 중이면 당해 연도 내 신청 가능하니 놓치지 마세요!
👩💻 사례 3. 정규직 입사 3개월 차 수빈 씨 (만 27세)
수빈 씨는 중소기업 정규직으로 월 180만 원 소득, 가구 중위소득은 85% 수준입니다.
즉, 차상위 초과 ~ 기준 중위 100% 이하 유형에 해당돼요.
- 본인 저축: 월 10만 원 x 36개월 = 360만 원
- 정부 지원: 월 10만 원 x 36개월 = 360만 원
✔️ 총 수령액: 720만 원 + 이자
수빈 씨는 매달 자동이체 설정, 자립역량교육도 야근 없이 온라인 수료 완료 예정이라고 하네요.
“3년 후 전세보증금에 딱 맞출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라며 만족 중입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조건 요약
나이 | 만 15~39세 | 만 19~34세 |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50~100% 이하 |
월 소득 | 10만 원 이상 |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
정부 지원 | 매월 30만 원 (1:3 매칭) | 매월 10만 원 (1:1 매칭)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알바를 잠깐 쉬어도 괜찮나요?
→ 신청 당시엔 근로소득이 있어야 하며, 이후에도 소득이 계속 있어야 합니다.
중간에 근로 중단이 길어지면 지원금 못 받을 수 있어요. 꼭 주기적으로 소득 확인해요!
Q2. 군 복무 중인데 신청해도 되나요?
→ 군 복무 중엔 신청 불가입니다. 전역 후, 실질적인 근로소득이 생기면 신청 가능합니다.
Q3. 월 소득 49만 원이면 신청 못하나요?
→ 네, 차상위 초과~중위 100% 이하 유형은 월 50만 원 초과부터 가능해요. 딱 50만 원은 안 됩니다.
Q4. 소득은 있는데 집이 부자예요. 괜찮나요?
→ 가구 재산도 심사 기준에 포함돼요. 차량, 부동산, 금융재산 등이 합산되니 꼼꼼히 확인 필요!
🎯 준박사의 솔루션 (5문장 요약)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청년이 정부 지원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근로소득이 있어야 신청 가능하며, 중간에 퇴사하거나 군 복무 중이면 신청이 어렵거나 조건이 맞지 않습니다.
- 차상위 이하 청년은 3년간 최대 1,440만 원, 중위 100% 이하 청년은 최대 720만 원까지 수령 가능합니다.
- 신청은 5월 21일까지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조건 충족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알바라도 꾸준히 일하고 있다면 반드시 신청 고려해보세요—정말 좋은 기회입니다!
'상식과 지식 사이 > 경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 소득세 계산기 (0) | 2025.05.13 |
---|---|
신한은행 인터넷뱅킹 시간 (0) | 2025.05.13 |
간이과세자 기준 (0) | 2025.05.10 |
금선물시세 확인법 (0) | 2025.05.10 |
2025년 삼성전자 배당금 입금일 (0) | 2025.05.10 |